오늘은 문화누리카드 사용처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문화누리카드는 삶의 질 향상, 문화격차 완화를 위해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을 대상으로 문화혜택을 지원하는 카드입니다. 하지만 문화누리카드를 몰라 지원하지 못한 분들이 많이 있다고 합니다. 자격이 되시는 분들은 아래 신청방법과 사용처를 알려 드릴 테니 꼭 신청하셔서 혜택을 누리셨으면 좋겠습니다
<목차>
1. 신청자격
2. 지원내용
3. 발급방법
4. 잔액 확인 방법
5. 사용처
6. 문화누리카드 문제점
7. 맺음말
1. 신청자격
문화누리카드 신청자격은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6세 이상, 2017년 12월 31일 이전 출생자)에 한해서 사용 가능합니다. 올해부터는 만 나이를 적용한다고 하지만 문화누리카드는 연나이를 적용한다는 점 참고 바랍니다
2. 지원내용
문화누리카드는 문화예술, 여행, 체육 분야에서 사용 가능한 문화누리카드 발급을 지원해 줍니다. 1인당 연간 11만 원을 지원해 주며 예산범위 내에서 신청자 발급을 할 수 있습니다
발급일은 2023.2.1.(수)부터 2023.11.30.(목)까지이며 카드 사용 기간은 카드 발급일 ~ 2023.12.31.(일)까지입니다. 카드 사용 기간까지만 11만 원의 혜택이 유효하다고 하니 꼭 기간 안에 모두 사용하는 걸 추천드립니다
3. 발급방법
신청방법은 크게 2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 번째는 주민센터 방문이며 두 번째는 인터넷 누리집 및 앱 접속을 통한 발급 방법입니다
발급받는 데까지 보통 2~3주 정도 걸릴 수 있으며 예산 범위가 넘어가면 발급이 안될 수도 있기 때문에 최대한 빨리 신청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4. 잔액 확인 방법
문화누리카드에 충전이 되었는지, 또는 잔액이 얼마나 남았는지 확인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바로 홈페이지에 접속하거나 앱에 접속하면 알 수 있습니다. 또한 ARS 1544-3412에 전화해서 문의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문화누리카드를 사용할 때마다 사용한 내역과 잔액이 문자로 오기 때문에 확인하기 편하실 거라 생각됩니다
5. 사용처
홈페이지
문화누리카드는 문화, 관광, 체육과 관련 있는 곳에서 사용이 가능하며 문화누리카드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온라인 및 오프라인에서 사용 가능한 가맹점이 어디인지 설명해 놓았습니다
위에 문화누리카드를 사용할 수 있는 홈페이지 주소를 올려 두었으니 확인하신 뒤 사용하시면 되겠습니다
문화누리카드 앱 사용
하지만 홈페이지에 나와있는 가맹점들이 많아 헷갈릴 수도 있기 때문에 문화누리카드 앱에 들어가셔서 내 주위에 있는 가맹점을 찾아보는 것이 더 효율적수 있습니다
문화누리카드 앱->내 주변 가맹점 찾기로 들어가시면 지금 살고 있는 내 주변에 가맹점이 어디에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지역을 이동시키면 해당 지역에 어떤 가맹점이 있는지도 알 수 있습니다
6. 문화누리카드 문제점
문화누리카드를 보면 사용할 수 있는 가맹점도 많고 혜택도 좋다고 생각하는 분들이 많이 계실 겁니다. 하지만 실제로 사용하는 분들은 10%도 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이는 수급자, 차상위계층 중에 65세 이상의 어른들이 많이 있는데 이 분들은 온라인으로 결제하는 것이 익숙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또한 거동이 불편한 분들은 직접 공연을 보고 즐기는 것이 어렵습니다
이로 인해 지자체에서는 문화 누리카드를 모두 소진할 시 선물을 주는 이벤트를 진행하기도 하고 찾아가는 문화누리장터를 개최하기도 했습니다. 이것을 보면 문화누리카드의 지원금을 늘리는 것도 중요하지만 문화누리카드 가맹점을 늘리고 사용할 수 있는 품목을 늘리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7. 맺음말
오늘은 문화누리카드 발급방법 및 사용처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신청자격이 되는 분들은 꼭 문화누리카드를 신청하셔서 연간 11만 원의 혜택을 누리셨으면 좋겠습니다
'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로장려금 신청자격 확인하기 (2023) (0) | 2023.04.26 |
---|---|
청년내일저축계좌 자격조건, 신청방법 (2023) (0) | 2023.04.25 |
[대전] 청년내일희망카드 신청방법 (2023) (0) | 2023.04.21 |
서울 청년문화패스 신청방법 (2023) (0) | 2023.04.20 |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신청방법 알아보기 (2023) (1) | 2023.04.20 |